내부자 주식 매수매도 비율
내부자(임직원) 주식 매수매도 비율(Insider Buy/Sell Ratio)이란, 내부자가 매도한 주식 수 대비 매수한 주식 수를 나타내는 경제 지표입니다. 이 지수가 1보다 크다면 내부자들의 순매수가 높다는 것이고 이는 곧 매도하는 것보다 더 많은 주식을 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지수가 1보다 작은 수치라면 그 반대인 내부자들 사이에서의 순매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내부자 주식 매수매도 비율이 높은 상태라면, 보통 시장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됩니다. 회사의 내부자가 해당 회사의 미래 전망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갖고 있고 해당 회사의 주식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상태라고 믿고 있음을 시사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낮은 내부자 주식 매수매도 비율은 내부자가 해당 회사의 미래에 대하여 부정적인 전망을 갖고 있으며 해당 주식 가격이 상대적으로 과대평가되었다고 판단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시장에 부정적인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내부자 거래에 따른 시장 전망
2019년, 2020년 마켓이 상승하던 시기와 비교하여 2023년 2월 현재 내부자 순매도세가 상대적으로 강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 2019, 2020년도에는 주식 시장 상황이 좋았는데, 이런 경우 내부자 순매수가 높았던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내부자 순매도세가 높다는 것은 회사 내에서 주식을 파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2020년도 2.0부근까지 상승했던 수치는 2022년 말부터 최근까지는 지수가 0.22 부근으로 급격하게 하락한 상태에서 머물러있습니다.
이렇게 회사 내에서 상품을 팔고있는 비율이 늘어났다는 것은 경기에 대하여 불안한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의미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경제 관점에서 불확실성이 내포하는 의미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부자거래량이 매도 우위로 돌아섰다는 것은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통상적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게 되면, 경제 전망이 안 좋게 해석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제학적 관점에서의 불확실성이란 경제적으로 일어나는 사건, 추세 및 정책의 잠재 결과에 대한 예측 가능성 또는 지식이 부족한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경제적 불확실성은 정책의 변화, 글로벌 경제 사건, 자연재해, 기술발전 및 정치적 불안정과 같은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제적 불확실성은 의사결정과 행동에 다양한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업과 개인은 미래가 불확실 한 시기에 장기 프로젝트나 매수를 할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은 투자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과 개인이 잠재적 경제 충격에 대비한 헷징 수단을 원할 수 있으므로 더 높은 예방 차원에서 비용을 절감하는 행동을 하는 방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경제적 불확실성은 또한 투자자들이 높아진 리스크에 대한 보상을 받기 위해 더 높은 수익을 요구하기 때문에 금융 시장의 리스크 프리미엄과 변동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렇듯 경제적 불확실성은 정책 입안자, 기업 및 개인이 건전한 경제적 결정을 내리는 데 어려움을 겪게 만들 수 있으며, 경제 성장과 안정성에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내부자 거래를 확인하는 방법
위와 같이 투자에 있어서 내부자 거래 지표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면 개인 투자자에게는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다행히 내부자를 포함한 10% 이상 특정 기업 주식을 소유한 대주주들이 주식 거래를 한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내부자 거래는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ion)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Google검색에 'sec edgar'라고 검색하시고 "EDGAR-Search and Access-SEC.gov"라고 나온 링크를 클릭하여 EDGAR-Search and Access 검색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위에 표시된 "EDGAR full text searh"를 눌러 기업 검색을 할 수 있는 창으로 넘어갑니다.

여기서는 각자 검색하고자 하는 기업의 명칭이나 티커(Ticker)를 입력하여 검색합니다. 예시에서는 테슬라(Tesla)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검색하게 되면 연차보고서나 분기보고서와 같이 다양한 보고서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부자 거래 관련 보고서만 나올 수 있게 Filling category에서 'Insider equity awards, transactions, and ownership (Section 16 Reports)'를 선택해 줍니다. 그렇게 카테고리까지 지정해 주면 내부자 거래 보고서 내역들이 날짜별로 나열됩니다.
그렇게 검색하면 "Form & File" 항목에 "4(Insider trading report)"라는 보고서들이 많이 뜨게 됩니다. 미국 주식 시장에서 내부자(임직원) 그리고 10% 이상의 특정 기업 주식을 소유한 대주주들의 주식 거래가 있을 시, 미국 증권 거래위원회(SEC)에 보고하게끔 되어있는데, 그 때 쓰이는 양식이 바로 "Form 4" 양식입니다.
보고서에서 'A'는 "Acquisition"으로 주식을 보유한다 라는 의미이고, 'D'는 "Disposition"로 주식을 팔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거래 날짜와 어떤 사람이 거래를 하였는지, 거래 형식, 직접 거래 여부, 주식의 종류 등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나와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해당 주식의 내부거래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실 수 있으니, 관심있는 종목의 내부거래 보고서를 참고하시어 성공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과 경제 성장 (0) | 2023.03.28 |
---|---|
금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0) | 2023.02.16 |
[경제 지표] 2023년 1월 美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결과 및 관전 포인트 (2) | 2023.02.15 |
2023년 경제 전망에 대하여 (2) | 2023.02.13 |
댓글